이민법 상에서 이중 의도( Dual Intent)란 무엇인가? 비이민비자는 학생비자(F-1), 취업비자(H), 소액 투자비자(E-2), 주재원비자(L1), 종교지자(R1), 특기자 비자(O1), 문화 교류 방문자 비자(J1) 그리고 관광비자( B1/2) 등이 있고, 이민 비자로는 영주권이 있다. 영주권도 일종의 비자로 이해하면 좋을 것 같다. 시민권과는 달리 미국 정부의 결정에 의해서 쉽지는 않겠지만, 박탈할 수 있는 가능성이 다분히 있다는 것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. 범죄 […]
학대 피해자 보호법( Violence Against Women Act: VAWA) 을 통한 영주권 신청 안녕하십니까? 오늘은 학대 피해자 보호법( VAWA )을 통한 영주권 신청에 대해서 말씀 드리겠습니다. VAWA 를 직역하면 여성 폭력 방지법으로 번역하는 것이 옳겠으나, 이 법을 통해서 여성에 대한 학대뿐만 아니라, 남편과 자녀들 그리고 부모들에 대한 학대도 방지하고 궁극적으로 시민권자에게 학대받는 배우자, 자녀 그리고 […]
코로나 사태 관련 질문들? 이번 코로나 사태로 많은 사람들이 EDD 실업 수당을 신청하고 있는데 비이민비자 소지자도 받아도 되나? >>> 기본적으로 받아도 된다. 이민법 상의 공적부조( Public Charge) 정의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기본적으로 영주권 인터뷰에서 문제가 되지 않는다. 비자 종류에 따라 설명한다. >>> E2 비자 소지자의 경우: E2 주 신청자는 “매일 영업(daily operation)” 규정 때문에 […]
시민권 신청에서 알아 두어야 할 것들 통상적으로 영주권자가 시민권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영주권 획득 후, 4년 9개월을 기다려야 한다. 다시 말해서 영주권을 취득한 후, 5년되기 90일 전에 시민권을 신청할 수 있다. 그러나, 결혼을 통해서 영주권을 취득하였을 경우, 임시 영주권 취득 후, 3년되기 90 일 전에 시민권을 신청할 수 있다. 아울러, 영주권자가 시민권을 신청 하기 위해서는 지난 […]
트럼프 행정 명령- 60 일 입국 금지 조치 이 행정 명령의 목적으로 이민자의 유입으로부터 코로나 사태로 어려워진 미국 노동 시장을 보호하려는 것이다. 이 조치의 발효 시기는 2020년 미국 동부 시간으로4얼 23일 저녁 11:59분이다. 이 조치의 대상은 미국 밖에서 이민 비자를 받고 미국에 입국하려는 사람에게 적용다. 미국내에서 거주하며 영주권을 신청하는 사람은 적용대상이 아니다. 기존의 각종 비이민비자 […]
취업이민 청원에서의 고용주의 재정 능력. 오늘은 취업 이민 청원에서 제일 중요한 요소인 고용주의 재정 능력에 대해서 알아 보겠다. 2순위나 3순위 취업 이민 청원에서 스폰서 회사를 구하더라도 그 회사가 이빈법 상의 재정 능력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영주권 신청이 기각된다. 재정 능력이란 고용주가 영주권 신청자의 적정 임금을 지불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. 이민법에서 고용주의 재정 능력을 결정하는 기준은 […]
601A 사면 신청 오늘은 601A 사면 신청서에 대해서 정확히 알아 보겠다. 이 사면안은 2013년 1월 2일 발표 되었다. 미국 이민법 체계내에서, 원칙적으로 밀입국자는 미국내에서 영주권을 받을 수 없다. 불법 체류자와는 달리 시민권자와 결혼을 했더라도 미국내에서는 영주권을 받을 수 없다. 601A 사면 신청은 시민권자와 결혼을 한 밀입국자가 사면안을 통해서 영주권을 받을 수 있게 하는 조치이다. 기존의 […]
Portability 규정 이민법에 관심을 갖고 계신분 들이라면 AC 21법 (American Competitiveness in the 21st Century) 과 “Portability 규정” 에 대해서 들어보신 적이 있을 것입니다. “Portability 규정” 이란 쉽게 말해서 고용주를 변경하는 것을 말합니다. 이민법에서 고용주 변경을 할 수 있는 경우는 크게 두가지 경우 입니다. 첫째는 취업을 통한 영주권 신청 중에 일정한 자격요건을 갖추었을 경우 고용주를 […]
고용주의 USCIS Form I-9( 노동 자격 검증서) 작성 의무 한인들이 비즈니스를 하면서 간과하기 쉬운 것 중의 하나는 Form I-9( 노동 자격 검증서)를 작성해서 미이민국에 보내는 의무이다. 미이민법은 1986년 11월 6일 이후에 고용된 모든 노동자에 대해서 고용주는 Form I-9을 작성할 의무가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. 이 경우, 고용인이 시민권자이든지 외국인이든지 상관이 없다. 불법체류자나 노동 자격이 없는 외국인을 […]











